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2강 9번 지문분석 / 한줄해석
소재 : 음악을 향유하는 방식의 변화
질문이나 오류는 댓글 남겨주세요 by 스텔라쌤
[ 지문분석 ]
[ 한줄해석 ]
It is worth remembering that the idea of classical music widely accepted today did not exist until about 300 years ago.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지는 고전 음악이라는 개념이 대략 300년 전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은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다.
Performing music in concert halls to a paying audience, as something inherently pleasurable and significant, was pretty much unheard of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and not widely established until the nineteenth.
본질적으로 즐거움을 주며 의미 있는 것으로서, 콘서트홀에서 돈을 지불하는 청중에게 음악을 연주 한다는 것은 18세기까지는 전례가 거의 없었고 19세기까지는 널리 자리가 잡히지 않았다.
The concert hall, the audience, and the idea of ‘masterpieces’ of classical music, were all effectively invented during the course of the eighteenth century — in London, Paris, Vienna, Berlin and other European cities.
콘서트홀, 청중, 그리고 고전 음악의 ‘걸작’이라는 개념은 모두 사실상 18세기 중에 런던, 파리, 비엔나, 베를린, 그리고 여타 유럽의 도시에서 만들어졌다.
Much of the music that is now performed in public concerts was not composed for that purpose.
지금 대중 콘서트에서 연주되는 음악의 대부분은 그 목적을 위해 작곡되지 않았다.
The cantatas of J. S. Bach, for example, were written to be sung in religious services at the Church of St. Thomas in Leipzig where Bach was cantor.
예를 들어, J. S. Bach의 칸타타는 Bach가 성가대 합창 지휘자였던 라이프치히의 성토마스 성당에서 예배중에 부르기 위해 작곡되었다.
These pieces were part of weekly worship, and included chorales (hymns) for the congregation to join in with the singing.
이 곡들은 주간 예배의 일부였으며, 신도들이 노래를 부르며 참여할 수 있도록 합창곡(찬송가)을 포함했다.
Sing along during a modern concert hall performance of one of these works today and you’re likely to be told to shut up.
오늘날 이 작품들 중 하나가 현대의 콘서트홀에서 연주되는 동안 노래를 따라 부르면, 여러분은 조용히 하라는 말을 듣게될 것이다.
'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2강 11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2.02.09 |
---|---|
[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2강 10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2.02.06 |
[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2강 8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2.01.31 |
[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2강 7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2.01.26 |
[2022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2강 6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