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수능특강 영어 3강 6번 지문분석 / 한줄해석
소재 : 근대의 과학적 글쓰기
질문이나 오류는 댓글 남겨주세요 by 스텔라쌤
[ 지문분석 ]
★ 중요어법
there was a simple, direct, and unadorned form of speech needed.
이 문장에서 needed는 과거동사처럼 생겼어도
동사가 아닌 과거분사임에 주의합니다.
한 문장에 동사는 하나만 가능합니다 (동사 was)
[ 한줄해석 ]
Modern scientific writing in English began in the 17th century, with authors such as Francis Bacon, Robert Boyle, and Isaac Newton.
영어로 쓴 근대의 과학적 글쓰기는 17세기에 Francis Bacon, Robert Boyle, Isaac Newton 같은 저자들과 함께 시작되었다.
This period was characterized by intense debates over the nature of language generally.
이 시기는 대개 언어의 본질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특징으로 했다.
At issue was the presumed power of words to control knowledge, as Bacon put it, to “force and overrule the understanding, throw all into confusion, and lead men away into numberless empty controversies and idle fancies.”
지식을 통제하는, Bacon 의 표현으로는, ‘이해를 강요하고 좌우하며, 모두를 혼란에 빠뜨리며, 무수한 공허한 논쟁과 헛된 공상 속으로 사람 들을 끌고 가는,’ 말에 있다고 추정된 힘이 쟁점이었다.
Bacon was thus the first to claim revolt against Elizabethan styles of writing (which, of course, included Shakespearean drama); these, he said, pulled a veil between the intellect and the world.
따라서 Bacon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글쓰기 방식[문체](물론 셰익스피어의 드라마를 포함한)에 대한 반발을 요구한 최초의 사람이었는데, 그는 이런 문체가 지적 능력과 세상 사이에 장막을 쳤다고 말했다.
To advance knowledge, especially “the new experimental philosophy,” there was a simple, direct, and unadorned form of speech needed.
지식, 특히 ‘새로운 경험 철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하고, 직설적이며, 꾸밈이 없는 형태의 언어가 필요했다.
This would lift the veil and provide “an equal number of words as of things.”
이것은 장막을 걷어치우고, ‘사물과 같은 수의 말’을 제공할 것이었다.
'2022 수능특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수능특강 영어] 3강 8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1.07.26 |
---|---|
[2022 수능특강 영어] 3강 7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1.07.25 |
[2022 수능특강 영어] 3강 5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1.07.23 |
[2022 수능특강 영어] 3강 4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1.07.22 |
[2022 수능특강 영어] 3강 3번 지문분석/한줄해석 (0) | 2021.07.21 |